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국립국어원

몽땅연필을 표준어로 건의했는데, 일단 받아들여졌다. 한 달 전인가... 몽당연필/몽땅연필에 관한 글을 섰었다. https://bomdol.tistory.com/767 몽당연필 / 몽땅연필 먼저 몽당연필이 표준어임을 밝히고 시작하려 한다. 몽당연필이 짜리몽땅해서 몽땅연필인 줄 알았는데 몽당연필이라는 말을 듣고 어원을 찾아 보았다. 검색을 해 보니, 이미 누군가가 국어원에 bomdol.tistory.com 그때 몽땅연필이 의미로 보아 표준어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해서 국립국어원에 건의를 했는데, 생각이 나서 찾아 보니 받아들였더라. 건의가 받아들여졌다고 바로 바뀌거나 그런 건 아니고, 여러 학자들 간의 논의가 있은 후에 표준어를 바꿀 만하다 싶으면 바뀌는 거지만 그냥 일반 시민의 건의를 받아들였다는 게 조금 놀랍달까... 지금까지 국어원은 삽질 전문가라고 생.. 더보기
국어원도 모르겠다는데... 도대체 뭐지? 물을 머금고, 고개를 젖혀서 오로로 소리를 내는 일 어려서 누군가가 알려준 적이 있는데, 뭐였는지 기억이 안난다. 주위 사람들한테 물어 봐도 아는 사람이 없다. 도대체 이 말은 무얼까? 더보기
팔목시계, 차 보셨습니까? 팔목시계, 차 보셨습니까? 요즘 우리는 팔목시계 대신 손목시계를 사용한다. 최근에는 손목시계가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라기보다는 일종의 장식품으로 더 많이 쓰인다. 스마트폰으로도 얼마든지 시간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. 그런데 손목시계라는 말이 폭넓게 쓰인 시점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. 을 보자. ▲ ‘손목시계’와 ‘팔목시계’의 연도별 사용 빈도(동아일보 말뭉치) 을 보면 1990년대 이전에는 ‘손목시계’의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. 손목시계의 빈도가 급증한 것은 1989년 무렵이었을 뿐 그 이전에는(정확히는 1970년부터 1989년까지) 손목시계보다 ‘팔목시계’의 빈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. 그렇다면 왜 우리는 팔목시계보다 손목시계를 더 자주 사용하.. 더보기
'담임'이라 쓰고 '다님'이라 읽는 이유 (옳은 발음은 '다밈') https://news.korean.go.kr/index.jsp?control=page&part=view&idx=12594 쉼표,마침표. 놀라운 우리말찰나의 우리말 어릴 때부터 늘 궁금했던 단어 발음이 있다. 이 단어의 발음이 다른 사람들도 많이 궁금했던 모양이다. 국립국어원이 운영하고 있는 국어 관련 상담(온라인 가나다 또는 가나다 전화) 내용을 검토해 보면 이 단어의 발음을 묻는 사람들의 질문이 보인다. 또, 포털 사이트의 질의응답을 나누는 곳에 들어가도 이 단어의 발음을 궁금하게 여기며 질문을 던진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. 그 단어는 바로 ‘학급이나 학년 따위를 책임지고 맡아 news.korean.go.kr 어릴 때부터 늘 궁금했던 단어 발음이 있다. 이 단어의 발음이 다른 사람들도 많이 궁금.. 더보기
마감은 우리말 - 한자어가 아님 https://www.korean.go.kr/front/onlineQna/onlineQnaView.do?mn_id=216&qna_seq=62369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온라인가나다 다음 단어들의 어간이 무엇인가요? 작성자 박영지 등록일 2014. 4. 14. 조회수 383 어간에 ‘-이’ 나 ‘-음’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아니한다 에서의 예시로, 까마귀, 마감, 마중, 비렁뱅이, 올가미, 주검이 나와있습니다. 다음 단어들의 어간과, 접미사와 형성과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ㅠㅠ [답변]'까마귀 마감, 마중, 비렁뱅이, 올가미, 주검'의 www.korean.go.kr '마감'의 경우, ‘마감’이라는 단어는 18세기 문헌에 ‘마감’으.. 더보기

반응형